반응형
고사양 cpu를 사용해도 잡자기 프레임드랍을 경험하셨을 겁니다. 프레임 최적화 설정을 안 해줘서 생기는 문제일수도 있습니다. 엔비디아 설정으로 프레임 프랍을 해결하는 방법을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.
엔비디아 설정 방법
- 바탕화면에서 우클릭
- NVIDIA 제어판 클릭
- 3D 설정 관리 클릭
- 프로그램 설정
- 프레임 드롭이 생기는 프로그램 선택
- 옵션 설정
- 스레드 최적화 : 켜짐
- 전원 관리 : 최대 성능 선호
- 최대 사전 렌더링 프레임 : 2
- 텍스트 필터링 - 품질 : 성능
이 설정법은 최적화가 부족한 게임을 플레이할 때에 설정하면 높은 프레임이 나옵니다. 다음은 프레임에서 가장 중요한 cpu의 성능을 최대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설정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CPU 설정법
- 제어판
- 전원옵션
- 설정 변경
- 고급 전원 관리 옵션 설정 변경
- 다음 시간 이후에 하드디스크 끄기
- 0분으로 변경
cpu의 성능을 최대로 끌어내서 사용하기 때문에 최적화가 좋지 않은 게임을 플레이할 때에도 프레임드랍을 방어할 수 있습니다. 다음은 작업 관리자 설정을 통해 프레임 방어를 해보겠습니다.
작업 관리자 설정 방법
- 작업 관리자 접속
- 설정할 프로그램 우클릭
- 세부 정보 클릭
- . exe가 붙어있는 것 우클릭
- 우선순위 클릭
- 높음으로 변경
작업 관리자에서 우선순위를 높여 다른 프로그램보다 CPU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게 합니다. 따라서 프레임 드랍에서 지켜줄 수 있습니다. 위의 설정 3가지를 완료하신다면 고성능 CPU에서도 프레임드랍이 생겼던 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 혹시나 이 3가지 방법으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다른 부품의 문제일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.
반응형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엑셀 제한된 보기 오류 해결 - "파일을 제한된 보기에서 열 수 없습니다." 오류 (0) | 2022.03.07 |
---|---|
이 앱은 사용자 보호를 위해 차단 되었습니다 - 3분만에 해결 (0) | 2022.03.05 |
윈도우 10 CPU 고클럭 유지 방법 (0) | 2022.03.03 |
윈도우 11 시스템 복원 지점 생성과 복원 방법 알아보기 (0) | 2022.03.01 |
용도에 맞는 대학생 태블릿 추천 - 아이패드 (0) | 2022.03.01 |
댓글